50kg Rail, Railway Rail, Hard Carbon Steel
STEELMAX Steel Story
철도 여행은 즐거움 그 자체입니다.
전철, 지하철, 무궁화 열차, 새마을호, KTX 고속철도
모든 열차의 아래에는 Rail 이 있습니다.
레일은 다른 철강재와는 달리, 주 소비처는 철도청입니다.
수요처가 제한적이니
공급도 제한적입니다.
국산 Rail 은 주로 현대제철에서 공급되며
일본, 중국으로부터의 수입 Rail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주로 공급되는 Rail 의 규격은
9Kg, 15, 22, 30, 37, 50, 60, 73, 100Kg 단위 중량을 가지는 Rail입니다.
Steel Grade | 50kg Rail | |
Chemical Composition (%) | Carbon (C) | 0.63~0.75 |
Silicon (Si) | 0.15~0.30 | |
Manganese (Mn) | 0.70~1.10 | |
Phosphorus (P) | 0.030 max | |
Sulfur (S) | 0.025 max | |
Tensile Strength (N/㎟) | 800 min | |
Elongation (%) | 10 min | |
KS R9109 50K Rail, JIS E1101 |
위에 나타나는 화학 성분만 보면
그 의미가 쉽게 다가오지 않습니다.
하지만 다른 원소를 감안하지 않더라도
탄소 (C) 한가지만 봐도 Rail은 최고의 경강 (Hard Steel)에 속합니다.
당연한 말이겠지만
기차의 자체 중량에,
명절, 출근길에, 기차 옆구리가 터지도록
초 만원의 인간 무게까지 더한 중량을 견뎌야 하는
철도 Rail이 물렁 해서야
될 일이 아닙니다.
탄소강은
탄소량에 따라
극연강 : 탄소량 0.12% 이하
(SPCD, SPCE : 냉간 압연 강판 및 강대의 규격),
연강 : 탄소량 0.13~0.20%
(용접 구조용강인 SM490A, SM490B, SM490C),
반연강 : 탄소량 0.20~0.30%
반경강 : 탄소량 0.30% ~0.40%
경강 : 탄소량 0.40 ~ 0.50% (기계 구조용강 : S45C),
최경강: 탄소량 0.50 ~ 0.70% Rail로 구분이 가능하며,
최경강보다 탄소량이 높아지면,
탄소 공구강 (SK3)이 됩니다.
그러니 Rail 이 얼마나 높은 수준의 Hard Steel임을 알 수 있으며
인장강도 값을 보면, 최소 값이 무려 800 MPa에 달하며
일반 구조용강의 인장강도 최소 값 400Mp와 비교하면,
얼마나 높은 수준의 인장강도 값을 가지는지 알 수 있습니다.
스틸맥스는 연구소 수준의
깊이 있는 철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Carbon Steel, Special Steel, Stainless, Functional steel,
Ni-Alloy, Copper Alloy, Aluminium Alloy, Forging .
Plate, Sections, H-BEAM, Angle, Channel,
Flat, Round Bar, Rail, Pipe & Tube, SMLS,
ASTM, ASME, AISI, ANSI, API, SAE, AS, CSA
EN , KS, JIS, DNV, ABS, GL, LR, KR, NK. RINA, RS, CCA, IACS의
국가규격, 국제단체 규격, 국제협회 규격부터
Mill Maker Standards까지 공급하고 있습니다.
Citius, Altius, Fortius,
더 빠르게, 더 높이, 더 강하게가 요구되는 올림픽처럼
공급이 어려운 철강재 공급에는
진정한 전문 선수를 필요로 합니다.
철강재의 기본 물성치를 바로 확인해 볼 수 있는
스틸맥스(주) 사이트 철강 강종 “500” 바로가기 : https://steelmax.co.kr/products/plate/
자주 사용하는 대표적인 철강재의 중량과 금액을 자동으로 계산해 주는
철강 중량금액 자동계산기 바로가기 : https://steelmax.co.kr/calculator/carbon/pl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