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x204x12x12, SS275 단중 56.2kg/m 에이치 빔
2025년 11월 27일208x202x10x16, SM275 용접 구조용 에이치 빔, 형강
STEELMAX Steel Story
208x202x10x16 Size는 H-Beam으로, 200×200 빔 Series 3종류 중
단위 중량이 가장 무거운 65.7 kg/m 형강입니다.
형강은 강판이나, 철근처럼 단면이 간단하지 않은 경우의 강재를 형강 (形鋼 : Shapes)이라고 하고
전체를 뭉뚱거려 부르는, 형강은 H-Beam, I-Beam, Angle, Channel 등이 있습니다.
200빔 Series로, 주로 사용되는 재질로는 SS275 — 일반 구조용
간혹 사용되는 재질로는 SM275 — 용접 구조용 재질이 있습니다.
두 재질의 항복강도에서는 차이가 없습니다.
하지만 일반 구조용의 연결은 볼트로, 용접 구조용은 용접에 의한 연결 방법의 주로 쓰입니다.
주로 연결을 용접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는 강재의 용접성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강재 용접 시 용접에 방해되는 화학 원소를 낮게 가져갈 필요가 있고
용접 구조용이든, 일반 구조용이든, 기계 구조용 강재든, 용접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원소는 탄소 (Carbon)으로, 다른 원소와 비교하면 가장 현저한 영향력이 있습니다.
또한 탄소를 탄소강의 강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원소이기도 해서
탄소량을 높이면 강도가 높아지고, 내리면 강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용접성은 탄소량을 높이면 용접성이 떨어지고, 내리면 용접성은 좋아지는
이중적인 성격을 가지는 원소가 탄소입니다.
일반 구조용 SS275 — 탄소량 0.25% maximum
용접 구조용 SM275 — 탄소량 0.23% maximum
별 차이 없어 보이지만 0.02% 탄소량 차이로도 재질 명칭과 용도가 달라지도록 하는 게
탄소량이고, 이와 같은 현상은 기계 구조용인 S20C, S22C, S25C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이와 같은 탄소가 철강재에서 강재에 미치는 높은 영향력으로, 용접성을 가늠할 때 사용하는 지표가
탄소당량이고, 강도를 가늠하는 지표가 항복강도와 인장강도와 같은 기계적 성질입니다.
※ Ceq : 탄소당량 (Carbon equivalent : 炭素當量)
The value obtained by converting the influential strength of
elements other than carbon into carbon content.
The Carbon equivalent to tensile strength, that to the
maximum hardness in weld zone, etc. are often used.
탄소 이외의 원소의 영향력을 탄소량으로 환산한 공식임.
인장강도에 대한 탄소당량, 용접부 최고 경도에 대한 탄소당량등이 잘 사용됩니다.
철강의 성질은 탄소량에 의해 크게 좌우되고, 특히 용접부의
기계적 성질은 탄소량에 의해 크게 좌우됩니다.
Manganese를 포함한 다른 합금원소도 약간의 영향력을 미치므로,
이 영향력을 탄소의 영향력으로 환산한것을 탄소당량이라고 합니다.
| 공칭치수 | 표준단면치수 | 단위무게 | ||
| Nominal Size | Standard Sectional Dimension (mm) | Unit Weight | ||
| mm | H x B | t1 | t2 | kg/m |
| 200×200 | 200×200 | 8 | 12 | 49.9 |
| 200×204 | 12 | 12 | 56.2 | |
| 208×202 | 10 | 16 | 65.7 | |
| Steel Symbol | SM275A | |
| Chemical composition (%) | Carbon (C) t≤50 | 0.23 max |
| Carbon (C) 50<t>200 | 0.25 max | |
| Silicon (Si) | – | |
| Manganese (Mn) | 2.5 × C min | |
| Phosphorus (P) | 0.035 max | |
| Sulfur (S) | 0.035 max | |
| Yield Strength (MPa) | t≤16 | 275 min |
| 16<t≤40 | 265 min | |
| 40<t≤75 | 255 min | |
| 75<t≤100 | 245 min | |
| 100<t≤160 | 235 min | |
| 160<t≤200 | 235 min | |
| Tensile Strength (MPa) | 410~550 | |
| CVN Impact Energy, Joule | 20℃/27 min | |
| Ceq, As Roll | t≤50 | 0.42 max |
| 50<t≤100 | 0.44 max | |
| Pcm, As Roll | t≤50 | 0.26 max |
| 50<t≤100 | 0.28 max | |
스틸맥스는 연구소 수준의
깊이 있는 철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Carbon Steel, Special Steel, Stainless, Functional,
Ni-Alloy, Cu-, Al-, Co-, Ti-, Mg-, Metal, Forging.
Plate, Sections, H-Beam, Round, Angle, Channel,
Rail, Crane Rail, Flat, I-Beam, Pipe & Tube, SMLS.
ASTM, ASME, AISI, API, SAE, AMS, KS, JIS, CSA,
DIN-EN, NORSOK, DNV, ABS, GL, LR, KR, NK, RS.
국가규격, 국제단체 규격, 국제협회 규격부터
Mill Maker Standards까지 공급하고 있습니다.
Citius, Altius, Fortius,
더 빠르게, 더 높이, 더 강하게가 요구되는 올림픽처럼
공급이 어려운 철강재 공급에는
진정한 전문 선수를 필요로 합니다.
Tel : 02-739-8575
International : +82-2-730-8686
구매, 문의, 견적, 안내가 필요하신 경우
Contact us 바로가기 : https://steelmax.co.kr/contact/











